2021년 10월 16일 경남 식품위생직공무원 식품위생학 출제경향(총평)
2021-10-20

2021년 10월 16일 경남 식품위생직공무원 식품위생학 출제경향(총평)


▶10월 16일에 시행된 경상남도 식품위생학 시험은 전체적인 난이도가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니었지만, 기존에 자주 기출되지 않았던 주제나 꼼꼼하게 외워야만 정답을 맞출 수 있는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. 특이한 점은 매년 높은 비중을 차지하던 식중독(세균성, 자연독, 화학성)파트에서 절반 수준으로 출제되었으며, 감염병과 기생충 및 위생동물 파트에서는 5문항이나 출제되었습니다.

▶ 식품과 미생물 파트에서는 총 4문항이 출제되었고, 식품조차 처리 시 사용되는 방사선원이나 지표미생물인 대장균군 및 화학적 소독제의 구비조건과 관련된 문제들은 손쉽게 답을 찾았으리라 생각됩니다. 또한 수분활성도와 미생물의 생육 관련 문제도 최저 생육에 필요한 수분활성도의 수치까지 공부해 두었으므로 곰팡이를 정답으로 선택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.

▶ 식중독 파트는 식품위생학 과목에서 가장 많은 문항이 출제되는 영역이나, 이번 경남 시험의 경우 절반수준인 5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. 세균성 식중독에서는 리스테리아, 퍼프린젠스,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이 출제되었으며, 각 식중독의 특징이 문제에 모두 표현되어 있어 빠르게 정답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. 자연독 식중독(아플라톡신, 마비성 동물성자연독)과 화학적 식중독(비소) 역시 기존에 자주 풀어보던 문제가 출제되어, 식중독파트는 전체적으로 어렵지 않게 출제되었습니다.

▶ 감염병과 기생충 및 위생동물 파트에서 무려 5문항이 출제되었습니다. 감염병 파트에서는 세균성 식중독과 경구감염병을 비교하는 문제와 인공능동면역 중 생균백신이 출제되었습니다. 교재에 있는 표를 바탕으로 생균 및 사균백신과 순화독소까지 구분하는 문제를 여러번 풀어봤지만, 혹 꼼꼼히 암기하지 못했거나 기억이 나지 않은 학생들은 두창을 답으로 고르는 것이 힘들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. 기생충파트에서는 중간 및 종말숙주를 통해 기생충을 찾는 문제, 기생충의 형태에 다른 분류가 출제되었고, 위생동물파트에서는 완전변태하지 않는 곤충을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.

▶ HACCP 의무적용 대상식품의 경우, 올해 말까지 시행되고 있는 유예기간으로 공부하면서도 고민을 했었을 것 같습니다. 실제 출제 문항에서 기존 또는 신규업체의 표현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지는 않았지만, 그 부분과 관련 없이 장류가 출제되었기 때문에 다른 보기는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.

▶ 식품위생검사 파트에서는 2문항이 출제되었으며, 우유의 신선도 검사와 1일 섭취허용량을 계산하는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. ADI 산출문제의 경우 계산은 어렵지 않았지만, 보기에 단위를 다르게 표현해 놓았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했습니다. 하지만 그동안 공부하면서 글자 한 개도 놓치지 않는 연습을 해왔기 때문에, 혼동하지 않고 답을 선택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.

▶ 식품위생학 과목은 정말 꼼꼼한 암기가 필요한 과목입니다. 기출빈도와 상관없이 교재에 있는 내용을 구석구석 공부해 두시길 바랍니다. 수없이 반복하며 암기해온 우리 대방고시 학생분들은 분명 식품위생학에서 좋은 점수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수험생 여러분들 정말 수고하셨습니다.

[출처] 대방고시 [https://blog.naver.com/hajaenuri]

대방교육원
대방교육원로고
  • 명칭(회사) : 대방고시주식회사 제호 : 대방교육원 신문 등록번호 : 서울,아52761 발행일/등록일 : 2019-12-16
  • 발행인/편입인 : 원석주 청소년보호책임자 : 원석주
  •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로 347, 11층(신길동, 한독타워) 대표전화 : 070-5167-7999 이메일 : daebanggosi@dbgosi.net
  • Copyright © 2019 Daebangedu All rights reserved.